전체 글 (20)

04
06

이번 사태에 대해 강경하신 분들도 계실것이고 이제는 여러가지 이유로 복학을 원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복학을 원하시는 분들 중에서는 메X에서 조리돌림당하는게 두려워서, 아니면 주위 동기 및 선배들 눈치 보느라 주저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일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저 역시 이러한 학생 중 한명이기도 하구요. 위에도 적혀있지만, 전 복학을 해야한다는 주의이고 사유를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내년에 돌아가게 될 시, 의료교육이 아예 붕괴되어 이후 제대로 된 수업이 불가능하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F나 다른 동기 및 선후배들은 복학자들을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최소한 저는 복학자들에 대해서 그 선택을 전적으로 존중하며, 개인적으로는 정말 현명하신 선택을 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그저 일개 학생에 불과하지만 최소한 저는 만약 이후에 복학자들을 만나게 된다면, 다른 동기 및 선후배들처럼 똑같이 웃으며 인사하고 대화를 나누며 지낼 것입니다. 

 

하지만 이 사태와 별개로 지금 의대 본부가 저희를 대하는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년에 의대는 아무런 액션도 취하지 않았으며 이 사태에 관해서 관망만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올해 들어서 의대생들의 권리를 보장해주겠다며 이 이상 수업이 미뤄지면 의료교육이 무너진다는 이유로 저희에게 대학으로 돌아올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만약에 이 말이 진실이라면, 작년에 의대에서도 액션을 취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그러지 않았죠. 학생들은 최전선에 나가 의료교육을 지키기 위해 투쟁하는 동안에 의대는 그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았고, 그렇기에 위 공문은 신뢰를 잃었습니다. 

 

더군다나 지금 의대에서 학생들에게 돌아오지 않으면 유급시킬 것이라는 공문을 보내고 있습니다. 명분은 간단합니다. 이 이상 수업이 연기되면,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을 전수할 수 없기에 유급을 시키는 것이 마땅하다 라고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말이 진실이라면, 작년에 학생들이 교육에 대한 권리를 지키기 위해 투쟁할 때 의대에서도 역시 교육을 위해 액션을 취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그러지 않았죠. 교육에 대한 권리를 아무런 힘 없는 학생들이, 심지어는 갓 대학에 들어온 신입생들이 총알받이로 최전선에 나가 지키는 동안에 의대 본부는 그 어떠한 행위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의대는 유급에 대한 명분과 권위도 잃었습니다.

 

따라서 의대가 제대로 된 의료교육을 위해 진지한 고민 하고 방안을 마련해줄지에 전 의문을 가집니다. 저희를 대하는 방식에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고도 생각하구요. 여기에 대해서 의대의 분명한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고 싶은 말은 정말 많은데, 이만 말을 줄이겠습니다. 

 

 

 

여러가지로 보복이 두려워 내용 일부 검열했고, 그냥 여기에 올리고 끝낸다.

COMMENT
 
04
04

오늘 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탄핵이 되었다. 

 

계엄을 일으킨 이후로 사법부의 행보와 특히 헌법재판소가 탄핵 선고를 차일피일 미뤄 행정부와 입법부는 물론, 사법부가 뿌리까지 썩었다고 생각하여 절망하고 있었다. 또한 탄핵 선고를 4월은 물론 5월, 심하면 6월까지도 미루리라고 믿었는데 이러한 내 믿음과는 달리 공식적으로 탄핵이 되었다. 

 

계엄을 일으킨 이후로 사법부의 행보와 특히 헌법재판소가 탄핵 선고를 차일피일 미뤄 행정부와 입법부는 물론, 사법부가 뿌리까지 썩었다고 생각하여 절망하고 있었다. 탄핵 선고를 4월은 물론 5월, 심하면 6월까지도 미루리라고 믿었다. 4월 1일날 헌법재판소가 탄핵 선고를 4월 4일에 하겠다고 발표를 하자 난 속으로 '아 탄핵 선고를 기각하거나 각하하겠구나' 생각했다. 더이상 정의는 썩을 대로 썩어 희망은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내 믿음은 틀렸다. 4월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만장일치로 선고되었다. 

 

정말 다행이었다. 아직 뿌리는 살아있었다. 아무리 썩었어도 사법부가 민주주의의 정신을 잊지 않았다면 아직은, 나라에 희망이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이제 모든걸 포기하고 이민말고는 답이 없구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섣불리 결정은 안해도 될 것 같다... (그래도 보험으로 준비는 해둘꺼다. 세계가 너무 혼란스러워서 대비는 필수라고 생각한다.) 

 

오늘로써 나라는 물론, 의정사태 또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고 생각이 든다. 많은게 무너졌고 피해는 심각하지만, 그래도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듯이 분명 희망은 아직 남아있으리라고 믿고 싶다. 내 믿음이 틀렸던 것처럼, 내가 모르는 묘수가 분명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아니 믿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번에 진짜 마지막으로 희망을 걸어보고 싶다.   

COMMENT
 
04
02

학창시절부터 과외를 하는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 신념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설명이 가능하면 이해한 것이다'  이다.

 

남한테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은 주어진 문제와 관련된 논지, 기반지식 또는 기초, 그리고 기초부터 문제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을 이해하고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다. 고대부터 있었던 말이고, 누구나 인정하는 말일 것이다. 이해를 못하고 있는데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 스스로 이해를 하고 있어야 비로소 남한테 설명할 수 있다. 이 말에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물론 역은 좀 다른 문제인 것 같다. 이해와 별개로 성격적으로 남에게 설명하는게 안맞거나, 뭔가를 깔끔하게 논리적으로 설명을 잘 하는 것이 재능을 타는 것 같다. 당장 교수님들 중에서도 강의는 진짜 알아듣기 힘들 정도로 못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루신 업적은 태산과도 같은 분들이 종종 계신다. 다른 분야로, 운동 등에서 메커니즘을 제대로 설명을 하시는 분들은 거의 못 본 것 같다. 감각 관련된 분야거나 학문의 난이도가 극단적으로 올라갈수록 이런 현상들이 빈번해지는 것 같긴 하다.

 

하지만, 확실한 건 남에게 설명이 가능하면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명제를 이용하면 우리가 공부하는데 있어 이해했는지, 이해 못했는지 손쉽게 체크할 수 있다.  방법은 바로

 

'남에게 설명해보는 것이다.'

 

정말 간단하다. 내가 모르거나, 또는 제대로 알고 있지 않다면 남에게 설명이 안될 것이다. 반대로 알고 있다면, 남에게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알고 있는데 설명이 잘 안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고등교과과정은 매우 기초적인 학문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알고 있다면 남에게 설명이 가능해야한다. 만약 설명이 불가능하다면, 가슴에 손을 얹고 고민해보자. 내가 정말 설명에 재능이 없는것인지, 아니면 내가 몰라서 설명을 못하는 것인지 확인해보자. 정말 높은 확률로 후자일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공부를 하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지금까지 그렇게 믿어왔고, 여지껏 깨지지 않은 신념 중 하나이다. 꼭 옆에 누가 없더라도, 남에게 설명하는 식으로 공부를 한다면 내가 모르는 것들은 확실하게 잡아낼 수 있을 것이다.  

COMMENT
 
1 2 3 4 5